타인과 건강한 관계 맺기

부모라는 이름의 가스라이팅

인지(인간을 알아가다) 2025. 2. 20. 17:11

사랑인가 통제인가?

 부모는 자녀를 사랑하고 보호해야 할 존재입니다. 하지만 때때로 부모의 행동이 **사랑이라는 이름 아래 이루어지는 심리적 통제, 즉 ‘가스라이팅’**이 될 수 있습니다. 자녀를 위한다는 이유로 무리한 요구를 하거나, 자녀의 감정을 무시하고 자신의 방식대로 이끌어 가는 것이 바로 부모 가스라이팅의 대표적인 모습입니다.

 이 글에서는 부모가 자녀에게 하는 가스라이팅의 예시, 그로 인한 영향, 그리고 벗어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1.  부모의 가스라이팅이란?

 가스라이팅(Gaslighting)은 타인의 정신을 조작해 스스로를 의심하게 만들고, 통제하려는 심리적 학대를 의미합니다.

이런 가스라이팅이 부모와 자녀 사이에서 이루어지면, 자녀는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부정하게 되고, 결국 부모에게 의존하게 됩니다. 이는 자녀의 자존감 저하, 우울감, 불안감 등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부모는 자녀를 위한다고 하지만, 실상은 자신의 욕심과 기대를 강요하는 것일 수 있습니다. 이를 정확히 인식하고, 가스라이팅인지 아닌지를 구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부모 가스라이팅의 대표적인 예시

부모의 가스라이팅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그 형태를 제대로 알아야 대처할 수 있습니다.

🛑 1)  “다 너를 위해서 하는 말이야.”

부모는 자신의 의견을 강요하면서 자녀를 위한 것처럼 포장합니다.

 

예시:

  • “네가 원하는 대로 살면 인생 망쳐. 나는 네가 잘되길 바라는 거야.”
  • “엄마(아빠) 말 듣지 않으면 너 나중에 후회할 거야.”

📌 문제점:
자녀는 자신의 감정을 무시하고 부모가 원하는 대로 살아야 한다는 압박감을 느끼게 됩니다.


🛑 2)  “넌 안 돼. 넌 할 수 없어.”

부모가 자녀를 무시하고 능력을 깎아내리는 경우입니다.

 

예시:

  • “넌 머리가 안 좋아서 안 돼. 그냥 시키는 대로 해.”
  • “네가 뭘 한다고? 그냥 헛된 꿈 꾸지 마.”

📌 문제점:
이런 말을 반복적으로 듣다 보면 자녀는 자신을 믿지 못하게 되고, 도전할 용기를 잃게 됩니다.


🛑 3)  “네가 너무 예민한 거야.”

부모는 자녀가 불편함을 표현하면 자녀의 감정을 부정하며 문제를 회피합니다.

 

예시:

  • “네가 너무 과민반응하는 거야. 원래 다 이렇게 사는 거야.”
  • “넌 왜 이렇게 별것도 아닌 걸로 기분이 나빠지니?”

📌 문제점:
자녀는 자신의 감정을 믿지 못하게 되고, 결국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것 자체를 두려워하게 됩니다.


🛑 4)  “너 때문에 내가 힘들어.”

부모가 자녀에게 죄책감을 심어주는 형태의 가스라이팅입니다.

 

예시:

  • “너만 없었으면 내 인생이 더 행복했을 거야.”
  • “내가 너 키우느라 희생한 걸 생각하면 네가 이렇게 하면 안 되지.”

📌 문제점:
자녀는 부모에게 죄책감을 느끼며 자신의 감정을 억누르고, 부모의 요구를 들어줘야 한다는 압박감을 가지게 됩니다.


3. 부모 가스라이팅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

부모의 가스라이팅은 자녀에게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1) 자존감 하락:

  • 끊임없이 부정적인 말을 듣게 되면 자기 자신을 믿지 못하고, 자신이 무가치한 존재라고 느낄 수 있습니다.

😞 2) 감정 표현 어려움:

  • 자신의 감정을 표현할 때마다 “예민하다”, **“별거 아니다”**라는 말을 들으면, 점점 감정을 숨기게 됩니다.

3) 인간관계 문제:

  • 부모의 가스라이팅에 익숙해지면, 다른 관계에서도 쉽게 조종당할 가능성이 커집니다.

🚨 4) 불안과 우울:

  • 자신이 틀렸다는 느낌을 계속 받으면 항상 불안하고, 우울한 감정이 지속될 수 있습니다.

4.  부모의 가스라이팅에서 벗어나는 방법

가스라이팅을 인식했다면, 그로부터 벗어나야 합니다. 다음과 같은 방법을 실천해 보세요.

🌱 1)  내가 겪는 것이 가스라이팅인지 인식하기

  • 부모의 말과 행동을 돌아보며 정말 내게 도움이 되는 말인지, 나를 통제하려는 말인지 구별해야 합니다.
  • “다 너를 위해서야”라는 말이 사실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

✋ 2)  감정의 유효성을 인정하기

  • “내가 예민한 게 아니라, 부모님이 잘못된 말을 하는 거야.”
  • “내 감정은 소중하고, 충분히 존중받아야 해.”
    이렇게 생각하는 연습을 해보세요.

🗣 3)  부모와 거리 두기

  • 가능하다면 가스라이팅을 하는 부모와 물리적, 심리적 거리를 두는 것이 좋습니다.
  • 대화를 할 때 감정적으로 휘둘리지 않도록 준비하세요.

💪 4)  나를 지지해 줄 사람 찾기

  • 친구, 상담가, 멘토 등 객관적으로 조언해 줄 수 있는 사람을 찾아보세요.
  • 가스라이팅에서 벗어나려면 정서적인 지지가 필수적입니다.

📖 5)  자기 주도적인 삶을 살아가기

  • 부모의 기대가 아니라 내가 원하는 삶을 스스로 결정하는 연습을 해야 합니다.
  • 내가 좋아하는 일, 내가 원하는 목표를 세우고, 한 걸음씩 나아가 보세요.

5. 부모의 말이 전부가 아니다

 부모라는 존재는 우리 삶에서 매우 중요한 사람들입니다.  그러나 부모가 하는 모든 말이 옳은 것은 아닙니다. 부모도 실수를 할 수 있으며, 때로는 자녀를 가스라이팅할 수도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부모의 말이 내 삶을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부모의 기대와 통제에서 벗어나 내 삶을 스스로 만들어 나갈 수 있는 힘을 길러야 합니다.

 

 부모의 가스라이팅에서 벗어나, 진정한 ‘나’로 살아갈 수 있도록 노력해 보세요. 💙